February 26, 1965
I see more and more that solitude is not something to play with. It is deadly serious. Much as I have wanted it, I have not been serious enough. It is not enough to “like solitude” or love it even. Even if you “like” it, it can wreck you, I believe, if you desire it only for your own sake. So I go forward (I don’t believe I would go back. Even interiorly I have reached at least relatively a point of no return), but I go in fear and trembling, often with a sense of lostness, and trying to be careful what I do because I am beginning to see that every false step is paid for dearly. Hence I fall back on prayer, or try to. Yet there is great beauty and peace in this life of silence and emptiness, but to fool around with it brings awful desolation. When one is trifling, even the beauty of the life suddenly becomes implacable. Solitude is a stern mother who brooks no nonsense. The question arises: am I so full of nonsense that she will cast me out? I pray not and think it is going to take much prayer.
고독은 즐기는 것이 아님을 점점 더 깨닫는다. 진지하게 임해야 한다. 고독을 열망하기는 했지만 고독을 대하는 태도가 진지하지는 못했다. 고독을 '좋아하거나' 심지어 사랑한다고 해도 그것으로 충분하지는 않다. 고독을 좋아한다고 해도 자신만을 위해 고독을 열망한다면 고독은 우리를 파멸로 이끌 수 있다. 그래서 나는 조심스럽게 앞으로 나안간다. (내가 뒤로 간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내적으로도 다시 돌아갈 수 없는 지점에 다다랐다.)
나는 두려움과 떨림으로 나아가며, 자주 길을 잃어버린 듯한 느낌이 든다. 그래서 내가 무엇을 하는지 매우 조심한다. 내가 잘못 내딛는 걸음마다 상당한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 기도 안에서 늘 제대로 가고 있는지 점검하고 또 점검하려고 노력한다.
고요와 비움의 삶에는 놀랄 만한 아름다움과 평화가 있지만, 늘 메마름으로 이끄는 유혹이 도사린다. 모든 것이 하찮게 느껴지면 어느 날 갑자기 인생의 아름다움조차 무의미할 수 있다. 고독은 하찮은 것을 견디지 못하는 엄한 어머니다. 내가 너무 하찮아서 고독이라는 어머니가 나를 쫓아내는 것은 아닐까 하는 의혹이 일어난다. 그렇게 되지 않도록 기도한다. 많은 기도가 필요하다.
from Intimate Thomas Merton 토마스 머튼의 시간 (역: 류해욱)
Comments
Post a Comment